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7

[오독완 5기]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2일차) 오늘도 독서 완료! 오늘은 개발 분야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준 개발 분야 선택하기를 읽었습니다! 솔직히 많이 고민이죠, 어떤 분야를 개발할지.. 특히 제가 처음 IT를 입문했을 때 생각하면 정말 아무것도 몰랐어요.. 그러니까 학원에서 설명하는 걸 끄덕끄덕은 했는데 진짜 뭐 하나라도 알아야 질문이라도 할텐데 모든게 모르는 용어라서.. 처음에는 Java와 Javascript가 다르다길래 이걸 이해하는데도 한참 걸렸습니다 . 저자분께서 이런걸 시원하고 꼼꼼하게 잘 긁어주셨네요. 특히 저는 이 프레임워크 정리 부분이 정말 마음에 들었습니다. 저도 프런트는 아직 잘 모르거든요. 스위프트 프레임워크들은 들어본적도 없는것같고.. vue랑 react는 정말 많이 사용하는거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 표로 보니까 정리가 확 되.. 2023. 5. 19.
[오독완 5기]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1일차) 오늘부터 오독완을 시작합니다. 10일동안 목표로 하고 있고 책은 마침 11장이니까 하루에 한장씩 하면되겠다고 생각이드네요?! (다만 어제 책오고 야근하다가 부랴부랴 읽고 아직 후기 못 올려서 1, 2장은 몰아 올리게 되네요) 일단 이 책을 선정한 이유는 아주 명확했습니다. 1) 인프라 엔지니어에서 devops 업무를 받게되면서 개발의 필요성을 매우 많이 느꼈다. 2) 솔직히 개발을 하려면 하물며 IT를 알고있더라도 고민에 빠지는 것들이 있다. 그것을 해결하고 싶었다. 2번의 내용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서술해보자면, 일단 첫번째는 언어적 고민이다. 정석적인 답변은 하나의 언어라도 확실하게 하면 된다가 가장 많이 들어본 말이다. 업무를 하다보니 백엔드는 결국 대부분 자바로 짜져있지만, devops 업무상.. 2023. 5. 19.
Polaris를 통한 보안 적용하기 이번에 쿠버네티스 스터디의 마지막 5장의 내용을 작성해보고자한다. 보안에는 다양한 툴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특히 이번에 배운 polaris라는 오픈소스를 처음 접하고 많은 관심이 생겨서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적어보고자 한다. 1. Polaris란 무엇인가 polaris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구성 및 보안 설정과 관련된 문제를 자동을 검사하고 보고서를 생성하는 오픈소스 툴이다. 다양한 검사 항목과 보안 권장 사항을 지원해서 운영자가 좀 더 손쉽고 정확하게 보안 진단을 할 수 있다. - 깃허브 : (https://github.com/FairwindsOps/polaris/tree/v5.0.1) - DOCS : (https://polaris.docs.fairwinds.com/) 2. Polaris의 .. 2023. 4. 8.
[책 리뷰]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문제 풀이 전략: 자바편 이번에 길벗에서 체험단을 모집할 때 또 잽싸게 신청했다. 특히 이번에 코딩테스트 자바편을 신청한 이유는 추후에 개발자로 전향하기 위해 코딩테스트를 보기 위함이고, 자바가 특히나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필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언어를 자바로 하고자 선택했다. 아무래도 특히 코딩테스트는 결국 테스트이기 때문에 시즌을 많이 타기도 한다, 그래서 집에도 사실 자바 코딩 대비 책이 많지만.. 또 이걸 신청했다. 정말 감사하게도 리뷰의 기회를 주셔서 책을 조금씩 살펴보도록하자. 실제로 이 책으로 코딩 테스트 준비해서 올 하반기에 개발자로 취업하는게 목표이다. 지금은 인프라 엔지니어인데, 아무래도 개발적 지식이 베이스가 되지 않은 인프라는 많은 한계를 느끼고 있다. 일단 책의 첫 느낌은 두꺼움에 ㅎㄷㄷ 이다. 진짜 책 .. 2023. 4. 8.
클라우드 아키텍처 툴 소개 클라우드 오픈채팅 방에서 리눅서님께서 공유해주셔서 평소 아키텍처 그리는데 참고하고자 포스팅합니다. 1. cloudcraft https://www.cloudcraft.co/ Cloudcraft – Draw AWS diagrams Visualize your AWS environment as isometric architecture diagrams. Snap together blocks for EC2s, ELBs, RDS and more. Connect your live AWS environment. www.cloudcraft.co 2. cloudockit https://www.cloudockit.com/ Cloudockit – Generate your cloud documentation Autogenerat.. 2023. 4. 5.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이번 4주차 주제로는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메테우스, 그라파나 모니터링에 대한 글입니다. 프로메테우스 개요 프로메테우스는 대표적인 Pull방식의 메트릭 서버입니다. Pull방식 과 Push 방식이 있는데, 그 차이는 무엇일까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모니터링 서버는 대부분 push 방식입니다. Datadog이나 Whatap 같이 대부분 agent를 설치하고 대상 서버에서 agent가 메트릭을 수집하고 중앙 서버에 push 합니다. 그러면 그 중앙 서버는 메트릭값을 모아 중앙에서 관리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pull 방식의 경우는 대상 서버에서 알아서 자신의 메트릭값을 open하고 있습니다. 그럼 중앙 서버에서는 대상 서버의 메트릭값을 pull로 수집을 해 저장합니다. 따라서 agent 운영에 대한.. 2023.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