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90

[책 리뷰]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문제 풀이 전략: 자바편 이번에 길벗에서 체험단을 모집할 때 또 잽싸게 신청했다. 특히 이번에 코딩테스트 자바편을 신청한 이유는 추후에 개발자로 전향하기 위해 코딩테스트를 보기 위함이고, 자바가 특히나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필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언어를 자바로 하고자 선택했다. 아무래도 특히 코딩테스트는 결국 테스트이기 때문에 시즌을 많이 타기도 한다, 그래서 집에도 사실 자바 코딩 대비 책이 많지만.. 또 이걸 신청했다. 정말 감사하게도 리뷰의 기회를 주셔서 책을 조금씩 살펴보도록하자. 실제로 이 책으로 코딩 테스트 준비해서 올 하반기에 개발자로 취업하는게 목표이다. 지금은 인프라 엔지니어인데, 아무래도 개발적 지식이 베이스가 되지 않은 인프라는 많은 한계를 느끼고 있다. 일단 책의 첫 느낌은 두꺼움에 ㅎㄷㄷ 이다. 진짜 책 .. 2023. 4. 8.
클라우드 아키텍처 툴 소개 클라우드 오픈채팅 방에서 리눅서님께서 공유해주셔서 평소 아키텍처 그리는데 참고하고자 포스팅합니다. 1. cloudcraft https://www.cloudcraft.co/ Cloudcraft – Draw AWS diagrams Visualize your AWS environment as isometric architecture diagrams. Snap together blocks for EC2s, ELBs, RDS and more. Connect your live AWS environment. www.cloudcraft.co 2. cloudockit https://www.cloudockit.com/ Cloudockit – Generate your cloud documentation Autogenerat.. 2023. 4. 5.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이번 4주차 주제로는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메테우스, 그라파나 모니터링에 대한 글입니다. 프로메테우스 개요 프로메테우스는 대표적인 Pull방식의 메트릭 서버입니다. Pull방식 과 Push 방식이 있는데, 그 차이는 무엇일까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모니터링 서버는 대부분 push 방식입니다. Datadog이나 Whatap 같이 대부분 agent를 설치하고 대상 서버에서 agent가 메트릭을 수집하고 중앙 서버에 push 합니다. 그러면 그 중앙 서버는 메트릭값을 모아 중앙에서 관리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pull 방식의 경우는 대상 서버에서 알아서 자신의 메트릭값을 open하고 있습니다. 그럼 중앙 서버에서는 대상 서버의 메트릭값을 pull로 수집을 해 저장합니다. 따라서 agent 운영에 대한.. 2023. 4. 1.
[3주차] 깃옵스 시스템 (harbor / gitlab / argocd) 이번 시간에는 쿠버네티스를 통해 깃옵스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확인해보자. Harbor 설치 Harbor는 컨테이너 레지스트리로 우리가 흔히아는 docker hub, 혹은 AWS ECR 등과 같은 서비스이다. 주로 nexus3 등과 비교가 된다. 보안관리, 역할기반 엑세스 제어(RBAC), 무료 이미지와 취약점 검사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일단 설치를 위해서 Helm을 사용한다. 따라서 repo add를 진행하고 values.yaml에 아래 내용을 기입한다. # 하버 설치 helm repo add harbor https://helm.goharbor.io helm fetch harbor/harbor --untar --version 1.11.0 vim ~/harbor/values.yaml -----------.. 2023. 3. 26.
K8S의 네트워크와 AWS VPC CNI CNI - CNI란, Container Network Interface의 약자로 컨테이너 간의 네트워크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 기본적으로 Kubernetes에서 사용되는 CNI는 Calico, Flannel 등이 유명하고, AWS에서는 AWS VPC CNI라는 자체 CNI를 제공한다. - 현재까지는 KOPS에서는 POD 단위의 보안그룹 적용이 되지 않는다. (EKS는 가능) AWS VPC CNI 우리가 EKS 환경에서 실습을 하기 때문에 AWS VPC CNI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자. AWS VPC CNI의 경우 파드의 IP 네트워크 대역이 해당 노드의 IP 대역과 같게 설정되어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 Calico에서는 node와 pod의 ip .. 2023. 3. 19.
Linux에 kubectl, helm 설치 1. kubectl 설치 https://kubernetes.io/ko/docs/tasks/tools/install-kubectl-linux/ 리눅스에 kubectl 설치 및 설정 시작하기 전에 클러스터의 마이너(minor) 버전 차이 내에 있는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v1.26 클라이언트는 v1.25, v1.26, v1.27의 컨트롤 플레인과 연동될 수 있다. 호환되는 최신 버전 kubernetes.io curl -LO "https://dl.k8s.io/release/$(curl -L -s https://dl.k8s.io/release/stable.txt)/bin/linux/amd64/kubectl" 2. helm 설치 https://helm.sh/docs/intro/insta.. 2023.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