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0 [네트워크] 전송 계층 신뢰할 수 없는 프로토콜패킷이 수신지까지 제대로 전송되었다는 확인을 하지 않는 프로토콜, 대표적으로 IP가 있다.TCP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며 그래서 TCP/IP라고 주로 한다. 비연결형 프로토콜송수신 과정에서 사전 연결 수립 작업을 거치지 않는 전송 특성.역시 IP가 대표적이다. port 포트응용 계층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정보.포트 번호의 범위에 따라 잘 알려진 포트(0-1023), 등록된 포트(1024-49151), 동적 포트(49152-65535)가 있다. NATIP 주소 변환기술로, 포트 기반의 NAT를 NPAT라고하고, NAPT는 IP주소와 더불어 포트 번호도 함께 변환해주는 NAT다. 포트포워딩네트워크 내 호스트에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미리 할당하고, 해당 IP주소 : .. 2024. 10. 2. [책] 인생의 중간쯤 왔다면 책상을 정리해야한다. 명작에는 군더더기가 없는 것처럼 좋은 인생은 단순하다. check list1. 하루 종일 열심히 일하며 성공을 꿈꾸지만 매번 작심삼일인가?2. 항상 돈도 없고 시간도 없고 미래도 없는 악순환에 빠져있다고 생각하고 우울한가?3. 습관적으로 미루는 버릇이 있어 시간에 쫓겨 고생한 적이 있는가?4. 늘 바쁘지만 지갑은 그대로인가?5. 아무리 집안을 청소해도 쓰레기가 가득찬 느낌이 드는가?6. 생각은 많지만 실천하기는 어렵고, 대부분 중도에 포기하면서도 쓸데없느 일만 잔뜩 하지 않는가?7. 갖가지 일에 얽매여 고민하고, 그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어려움을 겪는가?8. 인간관계에서 늘 머리 숙이고 양보하는데 오히려 뒤통수를 맞지 않는가?9. 버리지 못한 욕망은 점점 커져만 가고, 실망과 혼란 역시 점점 커져가는가.. 2024. 10. 1.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at Protocal) 주소 지정과 단편화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IPv4와 IPv6가 잇다.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한번에 전송 가능한 IP 패킷의 최대 크기이다. 일반적으로 1500byte이며, MTU 크기 이하로 나누어진 패킷은 수신지에 도착하면 재조합된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IP 주소를 MAC 주소에 변환해주는 프로토콜이다. ARP의 동작순서는 ARP요청(브로드캐스트 메시지) - ARP 응답 - ARP 테이블 갱신이다. Classful addressing클래스별로 네트워크 크기를 구분하는 IP 주소 체계이다.A,B,C 클래스로 네트워크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할 수 있다. cla.. 2024. 10. 1. [네트워크]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이더넷 Ethernet은 연결 매체의 규격(IEEE 802.3), 송수신되는 프레임의 형태 등을 정의한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터넷 통신 매체의 경우 '전송속도 BASE-추가 특성'으로 표기한다. 이더넷 프레임 : 이더넷에서 송수신되는 프레임 형태이다. 프리앰블, 수신지MAC주소, 송신지 MAC 주소, 타입/길이, 데이터, FCS MAC 주소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부여되는 물리적 주소이다. 6바이트(48비트)의 16진수 열두 자리로 구성된다.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 호스트와 통신 매체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NIC 마다 MAC 주소를 갖게된다. Twisted pair cable 우리가 흔히 말하는 LAN선이며,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 2024. 9. 30. [네트워크] 개론 네트워크란여러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는 통신망을 이야기합니다. 통신망의 분류는 근거리 통신망인 LAN과 광역 통신망인 WAN으로 분류합니다. 네트워크에는 메시지를 주고 받기 전, 회선 설정을 통한 연결을 확립한 뒤 송수신하는 네트워크인 회선 교환 네트워크와 메시지를 패킷 단위로 쪼개 송수신하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가 있으며 현대에는 패킷 교환 방식을 이용한다. 패킷교환에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 통신하기 위해 합의한 통신 규칙을 말한다. 프로토콜은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프로토콜 마다 목적과 특징이 다르므로 헤더도 달라진다. 네트워크 참조모델에는 OSI 7계층와 TCP/IP 4계층 두 가지 모델이 대표적이다.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헤더 (및 트레일러)를 추가해나가는 과정을 캡슐화(encapsu.. 2024. 9. 30. [KANS] kubernetes-service (1) - ClusterIP와 NodePort 이번 주제는 kubernetes의 네트워크 servic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통적인 트래픽 전송은 pod에 할당된 IP에 직접 호출하는 것이였습니다. 우리가 10.0.1.1이라는 pod IP를 알면 그냥 호출하면 되는거죠. 그런데 우리가 흔히 실제로 운영을 하다보면 컨테이너는 쉽게 문제가 생겨 죽거나 급증하는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해 auto scaling 되기도 합니다. 그럼 이 pod의 IP들을 알 수 없어 감당하기 힘들어지게 되죠.따라서 가상의 고정 IP를 할당하고, 쉽게 호출할 수 있는 도메인을 제공하는 Service가 등장하게 됩니다. Service yamlhttps://kubernetes.i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 공식문서.. 2024. 9. 24.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