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at Protocal)
주소 지정과 단편화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IPv4와 IPv6가 잇다.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한번에 전송 가능한 IP 패킷의 최대 크기이다. 일반적으로 1500byte이며, MTU 크기 이하로 나누어진 패킷은 수신지에 도착하면 재조합된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를 MAC 주소에 변환해주는 프로토콜이다. ARP의 동작순서는 ARP요청(브로드캐스트 메시지) - ARP 응답 - ARP 테이블 갱신이다.
Classful addressing
클래스별로 네트워크 크기를 구분하는 IP 주소 체계이다.
A,B,C 클래스로 네트워크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할 수 있다.
classless addressing
클래스에 구애받지 않고 네트워크를 좀 더 정교하게 나눌 수 있는 IP 주소 체계, 서브넷 마스크로 네트워크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한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상에 네트워크주소는 1, 호스트 주소는 0으로 표기한 비트열을 말한다)
public IP 공인 IP
전 세계에서 고유한 IP주소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주소이다. ISP나 주소 할당 기관에서 분배한다.
Private IP 사설 IP
사설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는 주소이다. 사설 IP대역은 정해져있다.
10.0.0.0/8(10.0.0.0 ~ 10.255.255.255),
172.16.0.0/12(172.16.0.0 - 172.31.255.255),
192.168.0.0/16(192.168.0.0 ~ 192.168.255.255)
정적 IP static IP
호스트에 직접 부여한 고정 IP주소 - 일반적으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라우터)주소, DNS 주소를 입력한다.
동적 IP주소 호스트에 자동으로 부여된 IP주소로 DHCP(동적 IP 할당 프로토콜)을 통해서 IP를 임대받는다. 임대시에는 임대기간이 존재한다.
router
네트워크 계층의 대표 장비로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고(라우팅 테이블에 기록됨) 그 경로로 패킷을 보낸다.
라우팅 테이블
source(출발지), 도착지(destination)이 적힌 표 - 일반적으로 수신지 IP주소, 서브넷마스크, 다음 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트릭이 명시된다.
routing protocol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찾기 위한 프로토콜, AS 내에서 수행되느냐 외부에서 수행되느냐에 따라 IGP, EGP로 나눠진다.
IGP - 거리 벡터를 활용하는 RIP, 링크 상태를 활용하는 OSFP
EGP - AS 간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BG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