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1

네트워크 개론 학습내용네트워크 구조, LAN/WAN, 회선교환/패킷교환, 주소 우리가 네트워크를 배운다는 것은 다음 구조도를 이해하는 것과 같습니다. 네트워크는 각각의 노드(정점, vertex)에 도달하기 위해 간선(link)로 연결됩니다.그리고 이 중심이되는 호스트(host)가 있고, 이를 역할에 따라 서버, 클라이언트라고 호칭하기도 합니다.이들이 주고 받는 내용을 메시지(message)라고 합니다.     거리(범위)에 따라서 LAN, CAN, MAN, WAN이 있지만 우리가 확실하게 알아야 할 것은 근거리 통신은 LAN과 이 LAN 네트워크 끼리 연결시켜주는 WAN이 있습니다. WAN은 주로 ISP(이동통신사업자)가 관리하게 됩니다. 메시지 교환 방식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분류하기 도합니다.회선교환방식, 패킷교환방.. 2024. 10. 2.
네트워크 용어 HA 고가용성 가용성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을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의 비율, 전체적 사용 시간 중 정상적 사용 시간 이중화-액티브/액티브- 액티브 /스탠바이 다중화장비나 프로그램을 여러개 두는 방식 로드 밸런싱트래픽 분배 방식 (알고리즘) 암호화 - 복호화원문 데이ㅓ를 이해할 수 없는 암호문으로 변경하는 것  공개키 인증서공개 키, 공개키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한 전자 문서공개 키 인증서 발급하고 검증하는 기관을 CA라고 한다. 디지털 서명개인 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를 공개키로 복호화해 신원을 증명하는 절차 TLS(Transport Layer Security)인증과 암호화를 수행하는 프로토콜TLS는 SSL을 계층한 프로토콜로 HTTPS는 TLS 기반 인증 및 암호화를 수행한다.TLS 핸드셰이크를 .. 2024. 10. 2.
[네트워크] 응용계층 도메인 네임IP 주소와 대응되는 문자열 형태의 호스트 특정 정보. 도메인의 네임 구조www.example.com.3단계 도메인, 2단계 도메인, 최상위도메인 .은 root 도메인 (FQDN) 네임서버도메인 네임을 관리하는 서버계층적으로 구성됨(루트네임서버, TLD 네임서버 등) DNS(Domain Name System)계층적이고 분산된 도메인 네임 에 대한 관리 체계도메인 네임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을 말하기도함. resource네트워크상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하고자 하는 최종 대상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자원 식별 정보URL : 위치 기반 자원 식별URN : 이름 기반 자원 식별foo://www.example.com:8042/over/there?name=ferret#nose.. 2024. 10. 2.
[네트워크] 전송 계층 신뢰할 수 없는 프로토콜패킷이 수신지까지 제대로 전송되었다는 확인을 하지 않는 프로토콜, 대표적으로 IP가 있다.TCP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며 그래서 TCP/IP라고 주로 한다. 비연결형 프로토콜송수신 과정에서 사전 연결 수립 작업을 거치지 않는 전송 특성.역시 IP가 대표적이다. port 포트응용 계층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정보.포트 번호의 범위에 따라 잘 알려진 포트(0-1023), 등록된 포트(1024-49151), 동적 포트(49152-65535)가 있다. NATIP 주소 변환기술로, 포트 기반의 NAT를 NPAT라고하고, NAPT는 IP주소와 더불어 포트 번호도 함께 변환해주는 NAT다. 포트포워딩네트워크 내 호스트에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미리 할당하고, 해당 IP주소 : .. 2024. 10. 2.
[책] 인생의 중간쯤 왔다면 책상을 정리해야한다. 명작에는 군더더기가 없는 것처럼 좋은 인생은 단순하다. check list1. 하루 종일 열심히 일하며 성공을 꿈꾸지만 매번 작심삼일인가?2. 항상 돈도 없고 시간도 없고 미래도 없는 악순환에 빠져있다고 생각하고 우울한가?3. 습관적으로 미루는 버릇이 있어 시간에 쫓겨 고생한 적이 있는가?4. 늘 바쁘지만 지갑은 그대로인가?5. 아무리 집안을 청소해도 쓰레기가 가득찬 느낌이 드는가?6. 생각은 많지만 실천하기는 어렵고, 대부분 중도에 포기하면서도 쓸데없느 일만 잔뜩 하지 않는가?7. 갖가지 일에 얽매여 고민하고, 그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어려움을 겪는가?8. 인간관계에서 늘 머리 숙이고 양보하는데 오히려 뒤통수를 맞지 않는가?9. 버리지 못한 욕망은 점점 커져만 가고, 실망과 혼란 역시 점점 커져가는가.. 2024. 10. 1.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at Protocal) 주소 지정과 단편화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IPv4와 IPv6가 잇다.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한번에 전송 가능한 IP 패킷의 최대 크기이다. 일반적으로 1500byte이며, MTU 크기 이하로 나누어진 패킷은 수신지에 도착하면 재조합된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IP 주소를 MAC 주소에 변환해주는 프로토콜이다. ARP의 동작순서는 ARP요청(브로드캐스트 메시지) - ARP 응답 - ARP 테이블 갱신이다. Classful addressing클래스별로 네트워크 크기를 구분하는 IP 주소 체계이다.A,B,C 클래스로 네트워크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할 수 있다. cla.. 2024.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