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29 EBS 볼륨 마운트 1. 파일 시스템 용량 확인 df -h 2. 연결된 디스크 목록 확인 lsblk 3. 파티션 생성 command -> n -> p -> p -> w fdisk /dev/xvd 4. 포맷 mkfs -t xfs /dev/xvdc1 5. 파티션 마운트 mount /dev/xvdf1 /docker 6. UUID 확인 blkid 7. 자동 마운트 설정 vi /etc/fstab --- UUID ="12341201234-234-23-4234-234-234" /docker xfs default 0 0 8. 볼륨마운트 mount -a 2023. 6. 28. EBS 볼륨 마운트 1. 파일 시스템 용량 확인 df -h 2. 연결된 디스크 목록 확인 lsblk 3. 파티션 생성 command -> n -> p -> p -> w fdisk /dev/xvd 4. 포맷 mkfs -t xfs /dev/xvdc1 5. 파티션 마운트 mount /dev/xvdf1 /docker 6. UUID 확인 blkid 7. 자동 마운트 설정 vi /etc/fstab --- UUID ="12341201234-234-23-4234-234-234" /docker xfs default 0 0 8. mount -a 2023. 6. 28. 쿠버네티스 보안 사례 https://sysdig.com/learn-cloud-native/kubernetes-security/kubernetes-security-101/ Kubernetes Security 101: Fundamentals and Best Practices Kubernetes security is simpler than it sounds. Learn the basics of Kubernetes security, what you need to secure, and best practices for securing it. sysdig.com https://aws.github.io/aws-eks-best-practices/ Introduction - EKS Best Practices Guides Introductio.. 2023. 6. 28. [helm] rollback 헬름을 이용하다보면 rollback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1. 헬름 롤백 - RELEASE : 헬름 이름 - REVISION : 리비전 번호 helm rollback [REVISION] [flags] * 참고로 네임스페이스가 있다면 반드시 지정해야한다. flags 들 --cleanup-on-fail 롤백이 실패할 때 이 롤백에서 생성된 새 리소스의 삭제를 허용 --dry-run 롤백 모의 실행 --force 필요한 경우 삭제/재작성을 통해 리소스를 강제로 업데이트 -h, --help rollback 명령어에 대한 도움말 --history-max int 릴리스 당 저장되는 최대 리비젼 수를 제한. 제한이 없는 경우는 0을 사용 (default 10) --no-hooks 롤백 중 훅 실행 방지 .. 2023. 6. 28. [오독완 챌린지] 그로스해킹 (1일차) 오독완! 그로스 해킹이란 무엇인가? 모든 그로스 해커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동으로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전파하며, 스스로 영구히 지속하는 마케팅 기계를 만드는 것이다. - Aaron Ginn(아론 긴) 나는 이 책을 통해서 그로스 해킹이라는 단어를 처음 접했다. 마케팅 책이라고 해서 더 이끌림이 되었다. 세상이 점점 발전하면서 사람이 하나만 잘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에 부수적으로 다른 분야도 잘 알아야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다고 생각한다. 특히 마케팅이라는 분야는 어떤 제품이 완성되었을 때부터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한다. 제품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마케팅이 잘못되었다면 그 제품은 제대로 판매할 수 없다. 그래서 우리가 마케팅을 알고 있다면 단순히 제품을 개발하는데 끝이 아니고 그 제품을 통해서 내.. 2023. 6. 27. [Webstorm] 단축키 모음 블록 이동 command + shift + 방향키 한줄 이동 Option + shift + 방향키 한줄 복사 command + D 블록 선택 영역 확장 Option + 방향키 + 위로 : 점점 커짐 Option + 방향키 + 밑으로 : 점점 작아짐 다중커서 Option + shift + 마우스 끌기 해당 라인으로 이동 command + N 2023. 6. 19.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