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22 [AWS] codepipeline에 github 연동하기 오늘은 codepipeline에 github를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다른 gitlab이나 bitbucket도 연동방법이 비슷합니다. 기본적으로 AWS외의 서드파티에 대한 연결은 AWS의 CodeStarConnection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콘솔상에서는 AWS의 코드시리즈 사이드바 중 [설정] > [연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연결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연결을 원하는 서드파티를 선택합니다.현재 지원하는건 bitbucket / github / github enterprise server / gitlab / gitlab self-managed 이렇게 있습니다. 연결이름은 해당 connection에 대한 이름으로 구분이 가능하게만 지으시면 됩니다.그리고 [github에 연결] 버튼을 누릅니다... 2024. 12. 2. gitlab 한국어 판 가이드 직접 공부하시려고 사이트 만드셨다고 하는데 좋아서 링크해놓습니다. https://leoppark94.github.io/Gitlab_Project_Configurator_Korean/ GPC 한국어판GPC 프로젝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leoppark94.github.io 2024. 11. 29. Kiali 2.0 업데이트시 주요 변경사항 원글https://medium.com/kialiproject/kiali-2-0-for-istio-2087810f337e Kiali 2.0 for IstioIt’s been seven+ years and Istio Service Mesh is still on the rise. And for nearly as long the Kiali project has been developed alongside…medium.com Istio에서 대시보드로 활동되고 있는 Kiali 프로젝트가 2.0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더욱 더 고급화 되었습니다.어떤 내용인지 살펴보겠습니다. 변경된 사항 - configuration Discovery Selectors(디스커버리 선택자)기존에 Accessible Namespaces(접근가.. 2024. 11. 29. [crawling] selenium 환경 세팅 크롤링계의 2개의 양대 산맥이 있는데selenium과 beautifulsoup(bs4)이다. 둘의 가장 큰 차이는 selenium은 사람이 동작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동작하고, bs4는 소스 자체로 접근하게 된다. 오늘은 selenium으로 다양한 옵션을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라이브러리 다운pip3 install selenium 크롬 웹드라이버(Chrome webdriver) 다운 현재 사용중인 크롬 버전과 chrome driver의 버전이 일치해야한다.https://developer.chrome.com/docs/chromedriver/downloads?hl=ko 다운로드 | ChromeDriver | Chrome for Developers이 페이지는 Cloud Translation API를 통해.. 2024. 11. 28. [python] pipenv로 가상환경 만들기 여러가지 IDE를 쓰거나 코드를 돌리면 파이썬 버전환경이 많이 꼬이기 마련인데요,이걸 해결하기 위해서 저는 주로 pipenv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설치python3 기반의 pip에서 pipenv를 설치합니다.pip3 install pipenv 가상환경 생성가상환경 생성은 pipenv 명령어와 사용할 python의 특정 버전을 지정해서 설정합니다.참고로 이는 디렉터리 기반에서 동작하므로 내가 가상환경이 필요한 디렉터리로 이동해서 진행해야 합니다. 코드:pipenv --python [파이썬버전] 예시:pipenv --python 3.9 이렇게 설정하게 되면 해당 디렉터리 내부에 .pipenv 파일이 생성됩니다. 가상환경 터미널 실행이는 해당 터미널 세션에서 가상환경을 .. 2024. 11. 27. [Linux] crontab 관리 우리가 주기적으로 무언가를 실행할 때 crontab을 통해서 설정한다. crontab 설정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vi /etc/crontabcrontab -e 이 둘의 차이가 무엇인지 하나씩 알아보자. vi /etc/crontab이 곳에서는 시스템 배치 관리를 담당합니다.배치를 실행할 사용자 계정을 반드시 명시해야합니다.다음과 같이 /etc/crontab 안에는 hourly 등 다양한 파일이 존재해서 여기서 cron을 관리하게 됩니다. systemctl restart crond실행내역은 /var/log/cron에서 확인합니다. crontab -ecrontab -e는 이것을 실행하는 사용자를 기본으로 깔고 설정하는 crontab입니다.명령어에서 볼 수 있듯 crontab 명령어를 사용.. 2024. 11. 26. 이전 1 2 3 4 5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