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리뷰/IT 도서

[길벗] <나만의 MCP 서버 만들기 with 커서 AI> 리뷰

by james_janghun 2025. 8. 1.

 

 

총평

- 책의 난이도  : ★
- 추천 별점     : ★★★★
- 추천 독자     : MCP에 관심이 많은 바이브 코딩러
- 지은이         : 서지영 지음
- 출판사         : 길벗
 


 오늘 들고온 책은 요즘 핫한 MCP 관련 책입니다.

 

제가 커서 정말로 크게 애용하고 있는데 이걸로 개발 정말 많이하거든요.

그러다가 아주 흥미로운 책이 걸렸습니다.

 

MCP는 요즘 너무 핫해서 알고는 있었는데 사용해본적은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이번기회에 한 번 배워보면 되지 않을까 싶어서 바로 리뷰어로 신청을 해봤습니다.

 

 

저자 서지영님

 

전 저자보고 1차 놀람이 있었는데 책을 엄청나게 많이 집필하셨더라구요. 대부분 다 AI 책으로 트랜드에 맞게 아주 빠르게 만드시는 것 같습니다. 이 책도 7월 30일에 초판이던데.. 정말 대단하시더라구요..

 

직장 다니면서 집필하기가 솔직히 정말 빡세다고 생각되고, 신기술을 이렇게 바로바로 책으로 만들어 내시는게 참 존경스럽더라구요.

 

책의 구성

이 책은 구성 자체는 단순합니다. 1부 MCP 이해하기, 2부 실습 환경 준비하기, 3부 MCP 실습하기 이렇게 3개로 나눠져있고 각각 학습절차로 되어 있습니다.

 

1부 MCP 이해하기에서 MCP의 기본개념과 동작방식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2부 실습환경 준비하기에서는 사실 대부분 설치에 대한 내용이라 저는 빠르게 읽고 넘어갔습니다.

3부가 이제 아무래도 MCP를 실제로 실습해보는 거라서 제일 도움이 많이 되었던 부분이 였습니다.

 

MCP의 기본개념

일단 기본적으로 MCP(Model Context Protocol)이라는 이름의 MCP는 LLM이 외부의 다양한 도구와 구조화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로토콜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LLM 서비스에서 이제는 플러그인을 붙여서 자비스 처럼 다양한 일들을 처리하게 돕는거죠.

 

특히 MCP는 외부 서버를 이용하고 이를 API 와 비슷한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별다른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도 요즘 중요한 지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AI를 활용해보면 아시겠지만 컴퓨팅을 엄청 잡아먹고 이게 결국 성능 ===> 돈으로 직결되는 부분이라 너무너무 중요하거든요.

 

 

MCP 아키텍처

기본 개념에서 어느정도 확인이 가능하고, MCP는 MCP 서버가 별도로 존재하고 해당 서버로 호출해서 도구의 역할을 수행한 뒤 결과값을 반환하는 방식이고요. 이게 결국 서버-클라이언트랑 동일한데 MCP를 연결해놓으면 그냥 LLM을 돌리는 쪽이 클라이언트가 되서 LLM을 진행하다가 MCP에서 필요한 내용은 알아서 요청하고 응답받아서 처리하는 방식이죠.

 

나만의 MCP 서버 만들고 커서에 연결해보기

이 책의 핵심 하이라이트 부분은 이 부분이고 3부에 있습니다.

여기서 특정 기능을 하는 MCP 서버를 로컬에 만들고, 이를 커서에 연결해서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참 좋더라구요. 저도 이렇게해서 다양한 MCP 서버를 만들어 볼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책의 특징 - 아주 쉬운 이해

책 자체가 이렇게 그림도 많고 아주 쉽게 서술되어있어서 이해하기 편했습니다.

 

그리고 2부 같은 경우 설치방법이나 이용방법은 스크린샷이 많아서 바로바로 따라가면서 넘기시면되고.

아시는 분은 그냥 쭉 넘기시면 될것같습니다.

 

 

이상으로 리뷰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깃허브 보러가기

https://github.com/gilbutITbook/080473

 

GitHub - gilbutITbook/080473: <나만의 MCP 서버 만들기 with 커서 AI> 소스 코드

<나만의 MCP 서버 만들기 with 커서 AI> 소스 코드. Contribute to gilbutITbook/080473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