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1

개인정보 개인정보의 특성- 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 개인을 알아 볼 수 있는 정보 또는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정보 - 식별, 입수, 결합의 가능성에 따라 개인정보로 취급될 수 있으므로 개별적 상황과 맥락을 고려해서 판단해야한다. - 개인 식별이 되면 거의 개인정보가 된다고 한다. 용어 정리 개인정보- 성명, 주민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해 살아있는 개인을 알아 볼 수 있는 정보-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 별도로 보관된 추가 정보의 사용 결합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가명정보)  처리 (매우중요)개인정보의 수집, 생성, 연계, 연동, 기록, 저장, 보유, 가공, 편집 등 개인정보를 가지고 할 수 .. 2024. 11. 7.
VPC 통제 3요소 - SG와 NACL VPC 통제 3요소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 보안그룹- 네트워크 ACL- 라우팅 테이블 접근제어 (보안그룹과 NACL)접근 제어는 컴퓨팅 서비스를 보호하는 장치이다. 온프레미스에서는 방화벽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접근제어 방식비교방화벽의 접근제어 방식을 알아보자 BlacklistWhitelist기본 정책모든 트래픽 허용 / 블랙  리스트만 차단Deny Rule1Deny Rule2All Allow모든 트래픽 차단 / 화이트 리스트만 허용Allow Rule1Allow Rule2All Deny 일반적으로는 모든 트래픽을 기본 허용하는 블랙 방식은 관리자가 차단 리스트를 모두 알아야 하는 단점이 있어 화이트 방식으로 사용하는게 좋다. 다만 뭐든 정답은 없고 상황에 맞게 하는 것이 최선이다. 정말 필요한 트.. 2024. 11. 5.
RDS 1서브넷 그룹 1.1 단일 AZ일 경우 - 사용하는 서비스 : RDS, Redshift특징 : 서브넷의 모음, 서브넷은 특정 가용영역 속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룹으로 묶어서 RDS 장애시에 옮겨갈 수 있는 다른 서브넷을 미리 지정하는 것과 같다.   RDS는 가동 중에도 서브넷 그룹을 변경할 수 있다. (Aurora를 제외한 모든 엔진이 지원) 일반적으로는 같은 가용영역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다른 서브넷 그룹에 현재의 가용영역과 같은 곳이 없다면 이동할 수 없다. 기존 RDS 인스턴스에 퍼블릭 액세스 옵션이 켜져있다면 AWS는 서브넷 변경 전 다음 조건을 추가로 확인한다.1) 변경 대상 VPC에도 IGW가 연결됐는지 확인한다. (서브넷 라우팅 타겟에 IGW 지정 여부까지 검사하지는 않는다)2) DNS .. 2024. 11. 5.
ENI와 EIP 기본 개념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서 할당한 것이 Public IP이다.AWS에서는 AWS IPv4 pool에서 가지고 있는 IP를 할당하는데 여기서 할당한 IP는 동적 IP로 움직인다.그런데 정적 IP를 할당받고 싶다면 EIP(Elastic IP)를 할당하면 된다. 이는 AWS 계정에 AWS IPv4 pool에서 가지고 있는 IP를 직접 할당해 주는 방식으로 동작한다.AWS에서는 ENI라는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IP를 할당해 트래픽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Elastic IP 서비스는 AWS 계정 내의 리전에 공인IP를 할당하는 것으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면 정적 공인 IP를 소유할 수 있다. ENI (Elastic Network Interface)온프레미.. 2024. 11. 4.
[MAC] 내가 사용하는 사이트 앱으로 만들기 해당 내용은 https://newstars.cloud/593 블로그를 보고 재작성한 것입니다. nativefier라는 npm 패키지를 사용하면 사이트도 앱으로 만들어서 앱처럼 접속할 수가 있는데, 마치 윈도우 바로가기 느낌입니다.먼저 npm이 없으신분은 npm 설치를 해야합니다.brew install npm -g는 전역옵션으로 nativefier를 설치합니다.npm install -g nativefier  내가 원하는 사이트를 nativefier로 만듭니다.nativefier "https://claude.ai/" --platform mac 빌드가 다 되면 해당 경로로 들어가면됩니다. 2024. 10. 31.
[KANS-9주차] Topology Aware Routing 해당 내용은 kubernetes 1.23 beta에서 시행된 내용입니다.1.27 이전에는 Topology Aware Hints라는 내용으로 잘 알려져있습니다. kubernetes 공식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기능가장 활용도가 높은 곳은 아무래도 multi-zone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매우 좋습니다. 해당 기능의 목적은 해당 존에서 발생한 트래픽은 해당 존에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활용도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AZ에 대해서 통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많이 절약할 수 있고 네트워크 홉도 줄 일 수 있게 됩니다. 아무래도 각 AZ 별로 엔드포인트가 많아야 효용이 높습니다. 활용 방법service.kubernetes.io/topology-mode=auto 라는 annotation을 service에.. 2024.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