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0 ENI와 EIP 기본 개념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서 할당한 것이 Public IP이다.AWS에서는 AWS IPv4 pool에서 가지고 있는 IP를 할당하는데 여기서 할당한 IP는 동적 IP로 움직인다.그런데 정적 IP를 할당받고 싶다면 EIP(Elastic IP)를 할당하면 된다. 이는 AWS 계정에 AWS IPv4 pool에서 가지고 있는 IP를 직접 할당해 주는 방식으로 동작한다.AWS에서는 ENI라는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IP를 할당해 트래픽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Elastic IP 서비스는 AWS 계정 내의 리전에 공인IP를 할당하는 것으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면 정적 공인 IP를 소유할 수 있다. ENI (Elastic Network Interface)온프레미.. 2024. 11. 4. [MAC] 내가 사용하는 사이트 앱으로 만들기 해당 내용은 https://newstars.cloud/593 블로그를 보고 재작성한 것입니다. nativefier라는 npm 패키지를 사용하면 사이트도 앱으로 만들어서 앱처럼 접속할 수가 있는데, 마치 윈도우 바로가기 느낌입니다.먼저 npm이 없으신분은 npm 설치를 해야합니다.brew install npm -g는 전역옵션으로 nativefier를 설치합니다.npm install -g nativefier 내가 원하는 사이트를 nativefier로 만듭니다.nativefier "https://claude.ai/" --platform mac 빌드가 다 되면 해당 경로로 들어가면됩니다. 2024. 10. 31. [KANS-9주차] Topology Aware Routing 해당 내용은 kubernetes 1.23 beta에서 시행된 내용입니다.1.27 이전에는 Topology Aware Hints라는 내용으로 잘 알려져있습니다. kubernetes 공식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기능가장 활용도가 높은 곳은 아무래도 multi-zone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매우 좋습니다. 해당 기능의 목적은 해당 존에서 발생한 트래픽은 해당 존에서 유지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활용도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AZ에 대해서 통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많이 절약할 수 있고 네트워크 홉도 줄 일 수 있게 됩니다. 아무래도 각 AZ 별로 엔드포인트가 많아야 효용이 높습니다. 활용 방법service.kubernetes.io/topology-mode=auto 라는 annotation을 service에.. 2024. 10. 31. [Error] no match for platform in manifest: not found 문제컨테이너를 배포하였는데, 다음과 같이 no match for platform 에러가 발생한다면, 당신이 사용하는 컨테이너 이미지가 실제 컨테이너 환경의 호스트의 아키텍처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에러이다. Warning Failed 9s (x3 over 55s) kubelet Failed to pull image "kingdom0220/version-patch:v1": rpc error: code = NotFound desc = failed to pull and unpack image "docker.io/kingdom0220/version-patch:v1": no match for platform in manifest: not found Warning Fa.. 2024. 10. 31. [KANS-9주차] Ingress와 Gateway API Ingress 소개Ingress는 클러스터 내부의 서비스(Cluster IP, NodePort 등)를 외부로 노출시켜 Web Proxy 역할을 하는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이다.기존에 NodePort는 노드 포트를 노출해야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대부분 LoadBalancer 타입을 쓸 것이다.다만 문제는 LoadBalancer의 경우 L4 계층에서 동작하므로 TCP/UDP와 같은 프로토콜을 읽을 수 있으며, HTTP와 같은 프로토콜의 정보를 세부적으로 읽을 수 없다. 그래서 L7에서 동작하는 Ingress를 통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HTTP 정보도 읽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외부 로드 밸런서AWS LoadBalancer Controller (Ingress Controller)가 Ingress 규칙을 파악.. 2024. 10. 31. [KANS-9주차] AWS의 로드밸런서 모드 정리 해당 블로그 글을 참조해서 작성한다. AWS LoadBalancer Controller의 필요성과 기능AWS 로드밸런서 컨트롤러를 통해서 사용자는 좀 더 쉽게 EKS에서 service 타입으로 외부에 서비스를 노출할 수 있다. 특히 자동으로 대상 그룹에 등록할 수 있는 TargetGroupBinding이라는 CRD 항목도 제공해서 자동으로 Pod의 IP를 대상그룹으로 등록해주고 심지어는 IP가 바뀔때마다 자동으로 배포해주고 health check도 진행한다는 점에서 매우 간편하고 운영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뿐만아니라 AWS의 WAF 등 다양한 서비스와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좋다.로드밸런서 컨트롤러는 타겟 유형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2가지 모드를 지원하고 있다. Instance 모드Instanc.. 2024. 10. 30.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