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87 [AEWS-3기] Auto Scaling (2) CA - CSA, CPA에 대해서 Cluster Autoscaler(CA)란?Cluster Autoscaler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컴포넌트입니다. 쿠버네티스 1.8 버전과 함께 GA(Generally Available) 1.0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CA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 리소스 부족으로 파드가 실행되지 못하는 경우 → 노드 추가 (스케일 아웃)- 노드가 장시간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 경우 → 노드 제거 (스케일 인) Cluster Autoscaler의 작동 원리Cluster Autoscaler는 일반적으로 클러스터 내에서 Deployment로 실행되며, 다음과 같은 원리로 작동합니다.스케일 아웃 (Scale Out)- Cluster Autoscaler는 주기적으로 클러스터 상태를 모니터링합.. 2025. 3. 8. [AEWS-3기] Auto Scaling (1) HPA, KEDA, VPA에 대해서 가시다님과 함께하는 AEWS 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쿠버네티스의 확장방식 3가지쿠버네티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확장방식이 있습니다.HPA(Horizontal Pod Autoscaler) : 말 그대로 pod의 수를 늘리는 방식이다.VPA(Vertical Pod Autoscaler) : 노드의 스펙을 증가시키는 방식이다.CA(Cluster Autoscaler) : 그냥 클러스터 자체를 늘리는 방식이다. HPA의 경우 수치측정은 어떻게하는가?cAdvisor가 메트릭 수집을 하게되고, 이를 kubelet과 통신합니다. metrics-server는 kubelet을 통해 이 정보들을 수집하고 있습니다.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오토스케일러들은 metrics-server를 통해서 메트릭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부.. 2025. 3. 8. [Monitoring-AWS] AWS 주요 서비스 RSS 주소 정보 AWS 서비스의 상태 정보 및 주요 공지사항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는 RSS 피드가 제공됩니다. 이를 활용하면 특정 서비스의 장애나 유지보수 일정 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WS 서비스 상태 페이지 AWS의 전체 서비스 상태를 한눈에 확인하려면 공식 상태 페이지를 방문하세요.🔗 AWS Service Health Dashboard 📡 AWS 주요 서비스 RSS 피드 목록 서비스 리전 RSS 피드 API Gateway 서울 (ap-northeast-2) RSS 링크 .. 2025. 3. 3. Mac 처음 설치시 command homebrew 설치하기 zsh-highlightbrew install zsh-syntax-highlighting # 다운로드 및 oh-my-zsh 플러그인 위치에 설치.cd ~/.oh-my-zsh/plugins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syntax-highlighting.git# .zshrc 마지막 라인에 설정 적용# 사실 다음에 나오는 # .zshrc에서 oh-my-zsh 의 plugin에서만 처리를 해줘도 되고 # 이 부분은 생략해도 됨.echo "source $(pwd)/zsh-syntax-highlighting/zsh-syntax-highlighting.zsh" >> $HOME/.zshrc# .zshrc의 plugins 부분에 추가해주기vi ~.. 2025. 3. 3. aws 명령어 생성기 AWS CLI 명령어 생성기 명령어 구성 AWS 서비스 EC2 S3 Lambda DynamoDB CloudFormation 명령어 .. 2025. 3. 2. [AEWS 3기-4주차] prometheus와 grafana 설치하기 Prometheus모니터링의 필수 요소인 Grafana Prometheus에 대해서 다뤄봅니다. 일단 Prometheus가 무엇인지 부터 정리해보겠습니다.SoundCloud사에서 만든 오픈소스 모니터링 툴입니다. 이제는 CNCF 재단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특징- TSDB(Time Series DataBase)라는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key:value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PromQL이라는 자체 쿼리문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빠르고 쉽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 분산 스토리지에 의존하지 않는 자율적 노드. 서버 자체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하게 설정할 수 있고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 HTTP 기반의 pull 모델 데이터 수집이.. 2025. 3. 2. 이전 1 ··· 5 6 7 8 9 10 11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