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8

[Linux] umount umount어떠한 장치가 마운트 된 디렉터리에 해당 장치를 제거(마운트 해제)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사용법umount /    발생가능한 에러 umount: Mounted: target is busy 원인 해당 문제는 특정 사용자나 프로세스가 해당 디렉터리를 사용하고 있을 때 발생합니다. df -h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디스크 사용량을 볼 수 있어서 확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해결 1대표적으로 해당 디렉터리 내에서 umount 명령을 사용할 경우 현재 접근중인 디렉터리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디렉터리를 나와서 umount를 실행하면 됩니다. 해결2해결 1이 되지 않을 경우 마운트 해제 옵션을 줍니다.umount -f -l /옵션-f, --force : 강제 마운트 해제-l, --.. 2024. 9. 3.
[Linux] 타임존 변경하기 (서버시간 변경) 필요성대부분 서버를 처음 만들면 UTC 시간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한국은 KST로 UTC+9의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따라서 운영간 시차로 인해 로그 등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경우도 계속 계산해야하는 문제가 생깁니다.또한 단순히 계산을 넘어서 서버 간의 시간이 다르게 되면 이 또한 큰 문제가 되므로 이는 추후 NTP 서버를 통해 보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타임존 확인리눅스 파일시스템에 의해서 타임존도 관리됩니다. 즉 /etc/localtime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cat /etc/localtime 아마 이 곳에는 UTC라는 말이 보일 것입니다. 또한, 간단하게 명령어를 통해서 현재시간을 알 수 있습니다.$ dateTue Sep 3 01:15:49 UTC 2024   .. 2024. 9. 3.
iterm 활용하기 동시입력- 기능 : 터미널을 여러개 동시에 띄워놓고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러 대의 서버를 한꺼번에 컨트롤 하기 좋습니다.- 단축키 : ⌥+⌘+iShell > Broadcast Input > Broadcast Input to All Panes in Current TabShell > Broadcast Input > Broadcast Input to All Panes in All Tab 2024. 9. 1.
실리콘 Mac (M1 이상)에서 vagrant 활용하기 해당 내용은 https://medium.com/@odyssey.unheard/setup-vagrant-in-apple-silicon-mac-9f3cc5c3345b를 참조해서 작성하였습니다. M1으로 넘어오면서 현재 arm 아키텍처에 대한 virtualbox 지원이 안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우회방법이 있겠지만 제가 사용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1. vagrant 설치먼저 hashicorp에서는 실리콘 맥에 대한 vagrant 설치를 지원합니다. 손쉽게 brew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https://developer.hashicorp.com/vagrant/install에서도 설치가 가능합니다.brew tap hashicorp/tapbrew install hashicorp/tap/hashicorp-vagran.. 2024. 9. 1.
컨테이너 만들기 4 ) 컨테이너의 격리와 자원보장 방법(네임스페이스) 문제점전용파일시스템이 있더라도 추가적인 문제들이 있었다. 여전히 컨테이너에서 호스트의 다른 프로세스들이 보이고, 호스트의 네트워크를 공유한다. 여전히 루트 권한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네임스페이스 개념이 등장한다. 네임스페이스의 특징앞서 사실 격리를 설명하면서 마운트 네임스페이스를 먼저 살펴보았다.- 모든 프로세스는 타입별로 네임스페이스에 속한다.-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의 네임스페이스를 상속한다.  네임스페이스 사용방법unshare [옵션] 프로그램 [[arguments ...]] 옵션-m(mount)-u(uts)-i(ipc)-p(pid)-n(net)-U(user) 실습실습 전 먼저 네임스페이스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네임스페이스 확인 방법 #1proc에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 2024. 9. 1.
컨테이너 만들기 3) Overlay Filesystem 패키징의 문제 (중복, 그로 인한 비용 등)패키징으로 잘 모으긴 했지만 우리가 서버를 사용할 때 단순히 운영체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nginx, mysql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올려서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운영체제 + nginx, 운영체제 nginx+mysql 등 추가될 때마다 이미지를 만들어야하고, 개개인 별로 이미지를 만들게 되면서 중복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점점 불필요한 비용과 비효율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중복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오버레이 파일 시스템 (Overlay Filesystem)그래서 이러한 중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한다. 이를 오버레이 파일시스템이라고 한다.- 여러 이미지 레이어를 하나로 마운트- Lower 레이어(이미지 레이어)는 Re.. 2024.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