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9

[AEWS-3기][8주차 도전과제] ArgoCD HPA 포함시 APP 추가설정 이번 포스팅은 ArgoCD에 HPA를 포함하는 Sample Deployment 를 배포해보고 App 생성 시 추가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ArgoCD에서 주로 다루는 것이 Diff 인데, 즉 Git 저장소에 선언한 코드와 실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현재의 상태가 달라질 때 Diff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ArgoCD는 이러한 차이를 지속적으로 발견하고 동기화하면서 관리한다. 그러나 모든 차이점을 동기화하는 것이 항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특히 쿠버네티스 환경에서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관리하거나 런타임에 동적으로 변경되는 필드들이 존재한다.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ignoreDifferences를 사용한다. https://argo-cd.readthedocs.io/en/stable/user-guide.. 2025. 3. 30.
[AEWS-3기][8주차 도전과제] ArgoCD API 활용하기 ArgoCD 에 User 에 API Key 발급 후 ArgoCD API(SYNC/DELETE)를 호출하여 Trigger 동작 설정하는 도전과제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이 과제에서는 apikey를 발급받고, swagger를 통해 api를 확인한 후 실제로 요청을 보내 자동화할 수 있도록 알아볼 수 있는 과제이다.argocd 로그인먼저 로그인을 진행한다. 해당 server url을 통해서 argocd에 접속하니 확인하기 바란다.로그인이 성공되면 login successfully가 나온다.argocd login  apikey 허용하기먼저 해당 User에 apikey에 대한 내용을 허용해 주어야한다.나는 admin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kubectl edit cm -n argocd argocd-cm# .. 2025. 3. 29.
[AEWS-3기] Kubernetes CI/CD - Jenkins, Gogs, ArgoCD 배포 Jenkins 및 Gogs 설치하기docker-compose를 통해서 컨테이너로 설치한다.cat docker-compose.yamlservices: jenkins: container_name: jenkins image: jenkins/jenkins restart: unless-stopped networks: - cicd-network ports: - "8080:8080" - "50000:50000" volumes: -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 jenkins_home:/var/jenkins_home gogs: container_name: gogs image: g.. 2025. 3. 29.
[한빛미디어] 레트로의 유니티 6 게임프로그래밍 에센스 3판 "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총평- 책의 난이도 : ★★★☆☆- 추천 별점     : ★★★★★- 추천 독자     :  유니티 개발을 하고 싶은 사람 모두- 지은이          : 이제민 지음- 출판사          : 한빛미디어 이 책은 초보자를 위한 유니티 책이다.생각보다 책이 너무나도 커서 엄청 놀랐는데,,, 초보자를 위한거라고 하지만 두께는 초보자를 위하지는 않았다. 이 책은 유니티 엔진, 유니티 허브, 에디터, 유티니 패키지 매니저를 다룬다.또한 C#프로그래밍과 애니메이션, 벡터, 아트,디자인패턴 그 외에는 서버 등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게임 구성의 모든 요소는 건들인다고 볼 수 있다. 유니티 2023, 유니티 6를 사용한다.  책의 구성총 7.. 2025. 3. 24.
[AEWS-3기][7주차 도전과제] Pod Identity에서 AWS 권한을 부여한 파드(애플리케이션)을 배포 https://dev.classmethod.jp/articles/create-eks-auto-mode-cluster-by-terraform/ Terraform で Auto Mode の EKS クラスターを作成して、Pod Identity で AWS 権限を与えたアプリケーション© Classmethod, Inc. All rights reserved.dev.classmethod.jp 이번 포스팅은 EKS Auto Mode에서 Pod Identity를 활용하는 실습을 해봅니다. Pod Identity란?지난번 포스팅에서 제가 pod identity와 IRSA에 대해 비교한 내용이 있으니 여기서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https://devops-james.tistory.com/511 [AEWS-3기][6주차-도전.. 2025. 3. 23.
[AEWS-3기] EKS Auto Mode에 대해서 EKS Auto Mode란? 기본적으로 Auto Mode는 Karpenter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노드 자체의 Auto Scaling 기능을 갖추게 됩니다. 뿐만아니라 EKS Auto Mode를 사용하게되면 모든 AWS EKS Addon과 EBS Controller, ELB Controller 등 다양한 컨트롤러들을 AWS에서 관리하게 됩니다. 즉, 기본적인 개념 자체가 Control-plane 뿐만아니라 NodeGroup도 이제는 AWS에서 관리해주겠다 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특징 (및 제약사항)모든 것을 AWS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제약사항이 있습니다. 기본 NodeClass 사용- NodeClass는 기본적으로 80GiB의 EphemeralStorage와 노드당 최대 110개의 p.. 2025. 3. 22.